mac os 고정 ip 설정 방법

맥북, 맥 os 시스템의 고정 ip를 설정하여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소개

맥북, 맥 os 시스템의 고정 ip를 설정하여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보통 개발 서버를 사용할때 localhost로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모바일 기기나, 다른 장치와 연결할 때는 localhost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고정 ip를 사용하면 내부에서 사용할 때 편리하고, 다른 장치와 연결할 때도 편리합니다.

예를 들어, 개발중인 서버를 모바일에서 확인하고 싶을때 http://localhost:3000로 접속하면 접속이 불가능 하지만 고정 ip를 사용하면 http://192.168.0.0:3000 (예시)으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개발 중인 서버에 접속하여 로컬 서버에서 모바일로 화면을 확인할 때 유용하며, 내부 네트워크에서 디자이너 및 기획자 등과 협업할 때도 유용합니다.

내 컴퓨터의 내부 ip 주소 확인하기

내부 ip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ifconfig | grep "inet "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내부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단의 애플 아이콘 클릭 ->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Wi-Fi -> 연결된 wifi의 세부사항 -> TCP/IP에서 IPv4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ip 주소: 192.168.123.123

해당 ip주소를 사용하여 내부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포트를 3000으로 사용시) 예시: http://192.168.123.123:3000

내부 ip 주소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자동 설정은 컴퓨터 종료 및 네크워크 재시작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주 변경되는 ip 주소로 인해 약간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 ip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정 ip 설정 방법

  1. 상단의 애플 아이콘 클릭 -> 시스템 설정 -> 네트워크 -> Wi-Fi -> 연결된 wifi의 세부사항 -> TCP/IP에서 IPv4 주소를 확인합니다.

  2. IPv4 구성에서 수동 주소로 DHCP 사용을 선택합니다.

IPv4 설정

IPv4 설정

  1. IPv4 주소에 원하는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아무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면 안됩니다. 내부 망에서는 접속이 가능하나, 인터넷 사용시 외부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TCP/IP에서 라우터의 주소가 있습니다. 이 주소를 비롯하여 ip 주소를 설정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라우터 주소가 192.168.123.1이라면 192.168.123.[2~254] 사이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확인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터미널에서 ifconfig | grep "inet "를 입력하여 내가 지정한 변경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ip 주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개발 서버시 예: npm run dev로 서버를 실행하고 http://192.168.123.123:3000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주소는 내부 네트워크 주소이며, 모바일 기기나 다른 장치에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반드시 동일한 와이파이를 사용해야 합니다.

반드시 개발중인 컴퓨터의 wifi와 접속하는 기기의 wifi가 동일해야합니다.

만약, 다른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와이파이의 내부 ip 주소를 확인하여 사용해야합니다.

만약 개인 노트북이나 내부에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장소에서 wifi를 사용시, 세부사항 TCP/IP에서 다시 자동(DHCP 사용)으로 변경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마치며

맥 os에서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면 개발 서버를 사용할 때 편리하며, 다른 장치와 연결할 때도 편리합니다.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여 개발 및 협업을 더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관련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