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홈 서버 만들기 (feat. Express Api)

집에서 사용하고 남은 인텔 맥북(intel mac os)을 홈 서버로 node(express)와 nginx를 이용해 홈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 express 5.1
  • nginx 1.29.1
  • node 24.6.0
  • mac os sequoia 15.6.1
  • homebrew 4.6.4
  • pm2 6.0.8

목차

개요

이번 맥북 신형 m4 pro 14인치로 바꾸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맥북이 남게 되었습니다.

이전 맥북은 2018년형 맥북 프로 15인치 모델로, intel cp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근을 이용해 중고로 판매를 할까 하다가, 집에서 간단한 홈 서버로 활용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집에서 홈서버를 구축 해보고 싶은 분들이나, 남는 맥북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공유하고자 합니다.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맥북이 있다면, 홈 서버로 활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번 블로그에서는 남는 맥북(intel mac os)을 홈 서버로 node(express)와 nginx를 이용해 홈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주요 사용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node (express)
  • nginx
  • cloudflare
  • 홈 네트워크 lg u+ 공유기

2018년형 맥북 프로 15인치 모델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다른 맥북 모델도 인텔 맥북이라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애플칩 (mac os m1, m2 등)을 사용하고 있다면, 터미널 명령어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존 사용하던 맥북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델명: MacBook Pro (15-inch, 2018)
  • 프로세서: 2.6 GHz Intel 6Core i7
  • 메모리: 16 GB 2400 MHz DDR4
  • 그래픽: Intel UHD Graphics 630
  • 운영체제: macOS Sequoia 15.6.1
  • 저장장치: 512GB SSD

기존 사용하던 맥북의 사양은 홈 서버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사양입니다.

초기화

먼저, 기존 맥북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백업하고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홈서버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초기화를 통해 깨끗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1. 우측 상단의 애플 로고를 클릭합니다.
  2.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좌측 메뉴에서 일반을 클릭합니다.
  4. 우측 하단의 전송 또는 재설정을 클릭합니다.

안내에 다라 순차적으로 초기화를 진행하면 됩니다.

단, 설치된 os 버전에 따라 초기화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기타 검색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잠자기 모드 해제

홈 서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맥북이 잠자기 모드로 들어가지 않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잠자기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서버가 중단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을 변경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pmset -a disablesleep 1

이 명령어는 맥북이 잠자기 모드로 들어가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잠자기 모드를 다시 활성화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pmset -a disablesleep 0

이 명령어는 맥북이 다시 잠자기 모드로 들어갈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Homebrew 설치

홈브류는 mac os에서 패키지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입니다.

홈브류를 설치하기 위해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홈브류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brew --version

홈브류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Node.js 설치

홈브류를 이용하여 Node.js를 설치합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brew install node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Node.js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 node 버전 확인
node -v
# npm 버전 확인
npm -v

Node.js와 npm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각각의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Express 설치 및 간단한 서버 구축

Express는 Node.j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프레임워크 중 하나입니다. 간단한 Express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 express-generator 설치
npx express-generator --view=pug myapp
# myapp 디렉토리로 이동
cd myapp
# 의존성 설치
npm install
# 서버 실행
npm start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터미널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bash
> myapp@0.0.0 start
> node ./bin/www
Listening on port 3000

만약 express-generator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글로벌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bash
sudo npx install -g express-generator

이제 웹 브라우저를 열고 http://localhost:3000에 접속하면, Express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

홈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을 해야 합니다. 포트포워딩 설정 방법은 공유기마다 다르기 때문에, 사용 중인 공유기의 매뉴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lg u+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lg u+ 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웹 브라우저를 열고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주소는 보통 192.168.219.1입니다.
포트 포워딩을 하기 위해선 `게이트웨이`와 `와이파이 공유기` 모두 설정 해야합니다.

해당 주소로 접속하면 게이트웨이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인터넷 설정 홈 화면

인터넷 설정 홈 화면

위 이미지에서 검정색 기기는 게이트웨이, 흰색 기기는 와이파이 공유기입니다.

게이트웨이를 클릭합니다.

로그인 화면이 나타납니다.

비밀번호보안코드를 입력합니다.

비밀번호는 게이트웨이 뒷면에 적혀 있습니다.

보통 게이트웨이 인터넷 단자함 안에 있습니다. (벽면 어딘가..)

제 기준으로는 신발장쪽 벽면에 인터넷 단자함이 있었습니다.

게이트웨이 화면에 접속하면 여러 정보들이 있습니다.

상단 탭 메뉴에서 네트워크 설정 -> NAT 설정을 클릭합니다.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설정 화면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설정 화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게이트웨이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게이트웨이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포트포워딩 추가에서 위 이미지의 내용처럼 80 포트와 443 포트를 추가합니다.

  • 80 포트: HTTP의 기본 포트
  • 443 포트: HTTPS의 기본 포트

내부 주소IP는 와이파이 공유기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와이파이 공유기의 IP 주소는 게이트웨이 DHCP 할당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이트웨이 DHCP 할당 정보 화면

게이트웨이 DHCP 할당 정보 화면

위 이미지에서 할당 목록에 보면 내부 공유기의 IP 주소가 나타납니다. 보통 기본적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이 아이피 주소를 내부 주소IP에 입력합니다.

게이트웨이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게이트웨이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위 이미지 처럼 추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하단 우측에 설정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수 초간 게이트웨이의 초기화가 진행되며, 완료되면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됩니다.

기기 초기화 도중에는 인터넷이 끊깁니다. 잠시 기다려주세요.

게이트웨이의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이제 와이파이 공유기의 포트포워딩 설정을 진행합니다.

우선 관리자에서 설정하기 전 내 맥북 os의 IP 주소를 고정해야합니다.

IP 주소를 고정하지 않으면, 맥북이 재부팅 될 때마다 IP 주소가 변경되어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맥북 IP 주소 고정

앞서 설명한 것처럼, 맥북의 IP 주소를 고정해야 합니다.

IP 주소를 고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맥북 자체에서 IP 주소를 고정 (Static IP 설정)
  2.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IP 주소를 고정 (DHCP Reservation)

저는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IP 주소를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맥북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직접 고정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장점

  • 해당 네트워크에서 항상 동일한 IP 주소 사용
  • 공유기 설정 변경 없이 클라이언트에서만 설정 가능

단점

  • 다른 네트워크 연결 시 설정을 변경해야 함 (자동으로 동일한 IP 유지되지 않음)
  • IP 충돌 위험성 존재 (수동으로 관리해야 함)
  • 네트워크 설정을 잘못할 경우 연결 문제 발생 가능
  •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면 (게이트웨이, DNS 등) 수동으로 재설정 필요

두번째 방법은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특정 MAC 주소에 대해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할당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장점

  • 네트워크 환경이 바뀌어도 동일한 IP 주소 유지
  • 다른 기기들과의 IP 충돌 걱정 없음 (공유기에서 관리)
  • 네트워크 설정 변경 시 자동으로 적용

단점

  • 해당 공유기에서만 고정 IP가 적용됨
  • 다른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인 DHCP로 동작 (IP 주소 변경됨)
  • 공유기 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

두가지 방법 모두 설명드리겠습니다.

맥북에서 IP 주소 고정 하기

첫번째 방법으로 맥북 자체에서 IP 주소를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좌측 상단의 애플 로고를 클릭합니다.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좌측 메뉴에서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저는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Wi-Fi를 클릭합니다.

연결된 와이파이의 세부사항을 클릭합니다.

좌측 탭에서 TCP/IP를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맥북 IP 정보 화면

맥북 IP 정보 화면

DHCP로 설정된 것을 수동으로 변경합니다.

IP 주소192.168.xxx.xxx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서브넷 마스크와 라우터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IP 주소 고정 하기

두번째 방법으로 와이파이 공유기에서 IP 주소를 고정하는 방법입니다.

앞서 게이트웨이 관리자 페이지에서 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드렸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상태 정보 탭메뉴 -> DHCP 할당 정보를 클릭합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DHCP 할당 정보 화면

와이파이 공유기 DHCP 할당 정보 화면

위 이미지와 같이 맥북의 MAC 주소와 할당할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MAC 주소는 포트포워딩할 맥북의 고유 주소입니다.

맥북의 MAC 주소는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sh
ifconfig en0 | grep ether

또는 애플로고 -> 이 Mac에 관하여 -> 시스템 리포트 -> 네트워크 -> Wi-Fi에서 MAC 주소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고정할 IP 주소입니다.

IP 주소192.168.xxx.xxx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MAC 주소IP 주소를 입력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추가가 완료되면 하단 우측의 설정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잠시 후 기기가 초기화되며, 완료되면 IP 주소 고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고정 된 IP 주소로 포트포워딩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포트포워딩

이제 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기존 홈페이지 192.168.219.1 페이지에서 흰색 공유기 모양의 링크를 클릭합니다.

만약 페이지 접속이 불가하면 다음 아이피 주소로 접속해보세요: `192.168.123.1`

이전 게이트웨이와 동일하게 비밀번호보안코드를 입력 후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비밀번호는 와이파이 공유기 뒷면에 적혀 있습니다.

포트포워딩은 이전에 앞서 게이트웨이에서 설정한 것과 동일하게 80 포트와 443 포트를 추가합니다.

이때 내부 주소IP는 앞서 고정한 맥북의 IP 주소를 입력합니다.

와이파이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와이파이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화면

위 이미지처럼 추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제 하단 우측에 설정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수 초간 와이파이 공유기의 초기화가 진행되며, 완료되면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모든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Cloudflare 설정

홈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저는 Cloudflare를 이용하여 도메인을 설정했습니다.

이미 도메인을 등록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겠습니다.

꼭 클라우드 플레어가 아니어도 됩니다. A 레코드 설정이 가능한 도메인 서비스라면 어디든 상관없습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 둥록한 도메인에서 DNS -> 레코드 탭을 클릭합니다.

레코드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클라우드 플레어 DNS 설정 화면

클라우드 플레어 DNS 설정 화면

다음과 같이 레코드를 추가합니다.

  • 형식: A
  • 이름: 원하는 서브 도메인 (예: home, server 등)
  • IPv4 주소: 공인 IP 주소 (내부 IP가 아닌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IP 주소)
  • TTL: 자동
  • 프록시 상태: DNS만 (회색 구름)*
`프록시 상태`를 `DNS만`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클라우드 플레어의 프록시 기능을 사용하면 nginx 설정시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nginx SSL 설정시 클라우드 플레어의 프록시 기능을 사용하면, SSL 인증서가 제대로 발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차후 SSL 설정 완료 후 프록시 상태프록시 사용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공인 IP 주소는 네이버에서 내 아이피로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DNS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Nginx 설치 및 설정

Nginx는 고성능 웹 서버로, 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Nginx 설치

Nginx를 설치하기 위해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brew install nginx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Nginx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nginx -v

Nginx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homebrew를 통해 설치한 nginx는 기본적으로 자동 시작이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자동 시작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Nginx 서비스 시작 및 확인

homebrew를 통해 설치한 nginx는 기본적으로 자동 시작이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통해 Nginx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bash
brew services start nginx

자동 시작이 설정되면, 맥북이 재부팅 되어도 Nginx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Nginx 기본 페이지 확인

Nginx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를 열고 http://localhost:8080에 접속해보세요.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Welcome to nginx!"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sh
curl -I http://localhost:8080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HTML 형태의 응답이 출력됩니다.

Nginx 설정 파일 생성

Nginx 설정 파일은 Intel Mac 기준으로 보통 /usr/local/etc/nginx/nginx.conf 경로에 설정 파일이 있습니다.

Apple Silicon Mac (M1/M2/M3) 의 경우 /opt/homebrew/etc/nginx/nginx.conf 경로에 설정 파일이 위치합니다.

기본 설정 파일은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설정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하겠습니다.

bash
# 설정 디렉토리로 이동 (Intel Mac)
cd /usr/local/etc/nginx/servers
 
# Apple Silicon Mac의 경우
# cd /opt/homebrew/etc/nginx/servers
 
# 새로운 설정 파일 생성
sudo touch myapp.conf
 
# 설정 파일 열기
sudo nano myapp.conf

myapp.conf 파일에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nginx/servers/myapp.conf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your-subdomain.your-domain.com; # 앞서 설정한 도메인 ex) home.example.com
 
    location / {
        proxy_pass http://127.0.0.1:3000; # express 서버가 실행 중인 포트
        proxy_http_version 1.1;
        proxy_set_header Upgrade $http_upgrade;
        proxy_set_header Connection 'upgrade';
        proxy_set_header Host $host;
        proxy_cache_bypass $http_upgrade;
    }

이제 설정을 저장하고 나옵니다. (nano 에디터에서 Ctrl + X, 그 다음 Y, 마지막으로 Enter)

설정 파일 검증 및 적용

nginx 설정 파일에 문법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bash
sudo nginx -t

만약 문법 오류가 없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bash
nginx: the configuration file /usr/local/etc/nginx/nginx.conf syntax is ok
nginx: configuration file /usr/local/etc/nginx/nginx.conf test is successful

이제 Nginx를 재시작하여 설정을 적용합니다.

bash
sudo nginx -s reload

Nginx 설정 확인

이제 웹 브라우저를 열고, 앞서 설정한 도메인 (예: http://home.your-domain.com)에 접속해보세요.

단, Express 서버가 실행 중이어야 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다면, Express 서버의 기본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SSL 인증서 설정 (Let's Encrypt)

SSL 인증서는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SSL 인증서를 무료로 발급해주는 Let's Encrypt를 사용하여 SSL 인증서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Certbot 설치

Certbot은 Let's Encrypt에서 SSL 인증서를 자동으로 발급하고 갱신해주는 도구입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Certbot을 설치합니다.

bash
brew install certbot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Certbot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certbot --version

Certbot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SSL 인증서 발급

이제 Certbot을 사용하여 SSL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

이미 nginx가 실행중이므로 --nginx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인증서를 발급받겠습니다.

certbot-nginx 플러그인은 Certbot이 Nginx 설정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필요한 설정을 추가해줍니다.

bash
brew install certbot-nginx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SSL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

bash
sudo certbot --nginx -d your-subdomain.your-domain.com

위 명령어에서 -d 옵션 뒤에 앞서 설정한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명령어를 입력하면, 이메일 주소와 서비스 약관 동의 여부를 묻는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약관에 동의합니다.

이후, HTTP 요청을 HTTPS로 리디렉션할지 묻는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2를 입력하여 모든 HTTP 요청을 HTTPS로 리디렉션하도록 설정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bash
Congratulations! You have successfully enabled https://your-subdomain.your-domain.com

이제 SSL 인증서가 정상적으로 발급되었습니다.

만약 클라우드 플레어 사용시 인증서가 발급되지 않는다면 `프록시 상태`를 `DNS만`으로 설정했는지 확인해보세요.

정상적으로 발급 후 클라우드 플레어에서 프록시 상태프록시 사용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SSL 인증서 갱신

Let's Encrypt에서 발급한 SSL 인증서는 90일간 유효합니다.

따라서, 인증서를 정기적으로 갱신해야 합니다.

Certbot은 자동 갱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다음 명령어를 통해 인증서를 갱신할 수 있습니다.

bash
sudo certbot renew --dry-run

이 명령어는 실제로 인증서를 갱신하지 않고, 갱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테스트합니다.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면, 인증서가 만료되기 전에 자동으로 갱신됩니다.

수동으로 갱신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certbot renew

남은 갱신 기간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bash
sudo certbot certificates

다음은 실제 서비스 파일을 가져와서 운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만든 Express 서버를 실제 서비스로 운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Git 설치 및 설정

Git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간단히 Git을 사용해 pull을 받아서 운영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bash
git --version

만약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Git을 설치합니다.

bash
brew install git

다음은 git 정보를 설정합니다.

bash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 Email"
 
# 설정된 정보 확인
git config --list

비공개 저장소 사용을 하기 위해서 SSH 키를 생성합니다.

bash
ssh-keygen -t ed25519 -C "깃허브에 등록된 이메일 주소"
# 생성된 SSH 키 확인
cat ~/.ssh/id_ed25519.pub

생성된 SSH 키를 복사하여 GitHub에 등록합니다.

다음은 간단히 키를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bash
pbcopy < ~/.ssh/id_ed25519.pub

GitHub에 SSH 키 등록

  1. GitHub 접속

  2. 우측 상단 프로필 메뉴 열기

  3.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 클릭

  4. Title 입력 (예: MacBook Home Server)

  5. Key 부분에 붙여넣기 → 저장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ssh -T git@github.com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bash
Hi username! You 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but GitHub does not provide shell access.

이제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클론합니다.

bash
#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myapp
# 프로젝트 클론
git clone git@github.com:<Github름>/<저장소름>.git
SSH로 등록한 경우 https가 아닌 ssh 주소로 클론해야 합니다.

Https로 클론할 경우, 토큰으로 인증을 해야합니다.

프로젝트를 클론한 후, 의존성을 설치합니다.

bash
cd <저장소름>
npm install

이제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bash
npm start
node 실행시 에러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통 데이터베이스, redis 및 환경변수 설정이 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프로젝트 구조에 따라 다르니, 실제 실행 파일 경로를 입력하세요.

이제 웹 브라우저를 열고, 앞서 설정한 도메인 (예: https://home.your-domain.com)에 접속해보세요.

정상적으로 설정되었다면, Express 서버의 기본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이제 PM2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M2 설치 및 설정

PM2는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 관리자입니다.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PM2를 설치합니다.

bash
sudo npm install -g pm2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PM2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bash
pm2 --version

PM2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이제 PM2를 사용하여 Expres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bash
#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
cd ~/myapp/<저장소름>
# 애플리케이션 실행
pm2 start dist/server.js --name myapp

dist/server.js는 빌드된 파일 경로입니다. 프로젝트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실제 실행 파일 경로를 입력하세요.

PM2가 애플리케이션을 정상적으로 실행했다면,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ash
pm2 list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나타납니다.

PM2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거나 중지할 수 있습니다.

bash
# 애플리케이션 재시작
pm2 restart myapp
# 애플리케이션 중지
pm2 stop myapp
# 애플리케이션 삭제
pm2 delete myapp

PM2는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bash
pm2 startup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시스템에 맞는 명령어가 출력됩니다.

얘룰들어 sudo env PATH=$PATH:/usr/local/bin pm2 startup launchd -u your-username --hp /Users/your-username와 같은 명령어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출력된 명령어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저장합니다.

bash
pm2 save

이제 PM2가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시작합니다.

pm2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명령어설명
pm2 start app.js애플리케이션 시작
pm2 stop app_name애플리케이션 중지
pm2 restart app_name애플리케이션 재시작
pm2 list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목록 확인
pm2 logs애플리케이션 로그 실시간 출력
pm2 monit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pm2 delete app_name애플리케이션 삭제
pm2 save현재 프로세스 목록 저장
pm2 startup시스템 재부팅 시 자동 시작 설정

마무리

이번 블로그에서는 남는 맥북(intel mac os)을 홈 서버로 node(express)와 nginx를 이용해 홈 서버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외에도 해야될 설정들이 있습니다.

  • 방화벽 설정
  • 정기적인 백업 설정
  • 모니터링 설정 (예: winston, pm2 모니터링 등)
  • 보안 설정 (예: Fail2Ban, SSH 설정 등)

홈 서버 구축은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가다 보면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홈 서버를 구축함으로써, 개인 프로젝트를 호스팅하거나, 파일을 공유하거나, 다양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홈 서버 구축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관련 태그